조회 수 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방위산업전략포럼 장상호 기자 = 2021년 10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관한 브리핑(by One Earth Future Foundation (OEF)

 

1.jpg

 

조선중앙통신은 2021년 10월 2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과학연구소가 10월 19일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를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A. SLBM의 설계

10월 19일 발사된 SLBM은 2021년 10월 12일 열린 국방발전전시회 '자위대-2021'에서 선보인 것과 같은 형식으로 보인다.

미사일은 1단 고체 로켓 모터로 구동되며 꼬리 부분 주위에 4개의 "범프"가 있다.

발사 전에 접힌 위치에 있는 4개의 그리드 핀은 4개의 범프 사이에 있다(그림 1).

 

그림 1. 10월 12일 전시회에서 공개된 소형 SLBM(좌우). 범프 사이에 설치된 그리드 핀은 안정성을 높이고 발사 과정에서 미사일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10월 20일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4개의 범프와 4개의 그리드 핀은 모두 가스 발생기의 일부이다. 이 SLBM의 가스 발생기는 (1) 미사일의 (접힌 가능성이 있는) 날개를 덮고 보호하는 기능과 (2) 발사관에서 미사일을 밀어내는 기능의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아래에서 미사일이 공중으로 발사되면 가스 발생기는 폐기되고 미사일의 모터가 점화된다.(그림 2).

 

그림 2. 새로운 SLBM이 물 밖으로 배출된 후 가스 발생기는 폐기된다. 사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KN-23, KN-24 및 2021년 3월 25일 북한이 시험한 또 다른 SRBM.

 

f0205060_6175f063cecb7.jpg

 

가스 발생기가 없는 새로운 SLBM은 최근 몇 년 동안 북한이 개발한 KN-23 및 KN-24와 같은 고체 연료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2).3 가스 발전기는 또한 북극성-1 SLBM, 북극성-2 지상 기반 탄도미사일 및 북극성-3 SLBM에 사용됐다. 최근 시험된 SLBM과 달리 북극성 1, 2, 3의 가스발생기는 각각의 미사일과 직경이 동일하고 날개를 덮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범프가 없다(그림 3).

 

그림 3. 노란색 상자로 표시된 북극성-1 SLBM(왼쪽), 북극성-2 육상 탄도미사일(가운데) 및 북극성-3 SLBM(오른쪽)용 가스 발생기.

f0205060_6175f06ea605d.jpg

 

 

B. 런칭 플랫폼

조선중앙통신은 신형 SLBM이 '8.24 용웅'[8.24 영웅함]에서 발사됐다고 보도했다. 외부 관측통에 의해 "Sinpo-B급", "고래급" 또는 "Sinpo급"으로 명명된다. 한국은 과거에 수행된 SLBM 시험이 잠수함이 아닌 시험용 바지선에서 수행된 것으로 평가했다.

 

그림 4. 2021년 10월 20일 공개된 "8.24 용웅" 사진. 잠수함의 함교에 위치한 SLBM 발사관의 덮개가 열려 있다. 함교 내부에는 발사관이 하나만 있는 것으로 보인다. 

f0205060_6175f07583cad.jpg

 

 

C. 범위 및 궤적

 

한국 연합뉴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하여 신포 동쪽 해역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최고 고도 약 60km에서 약 590km를 이동했다고 보도했다.

 

새로 시험된 SLBM의 보고된 궤적과 모양은 비행 중 활공 및 기동을 수행할 수 있는 북한의 다른 고체 연료 SRBM과 유사하기 때문에 이 새로운 SLBM은 동일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조선중앙통신 보도는 미사일이 "측면 기동성과 활공 건너뛰기 기동성"을 갖고 있다고 발표한 점에서 이 평가를 확인시켜 주는 것 같다.

 

신형 SLBM의 작은 크기10와 1단 설계로 판단하면 다른 북극성 시리즈 SLBM에 비해 사거리가 짧다는 평가도 타당하다. 단거리 SLBM의 출현은 북한이 동북아시아의 다양한 목표물을 커버하기 위해 단거리 SLBM과 중거리 SLBM을 모두 배치하기를 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