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대한민국 해군의 소양급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

 

대한민국 해군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배수량 4200톤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3척을 운용했다.

 

2018918, 대한민국 해군의 신형 군수지원함(AOE-II) 첫 번째 함정인 소양함이 취역식을 갖고 정식으로 해군에 인계됐다. 해군작전사령부는 이날 오후 부산작전기지에서 신형 군수지원함 소양함 취역식을 열었다.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했다.

 

배수량 1만톤급인 소양함은 길이 190m, 너비 25m 크기로 최대 속력 시속 44로 항해할 수 있다. 보급물자를 11,050톤까지 적재할 수 있어 기존 천지급 군수지원함에 비해 군수지원 능력이 2.3배 이상 향상됐다.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함정에 직접 실을 수 있어 적재 속도가 향상됐고,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도 갖춰 헬기를 이용한 수직보급과 인원 이송도 가능하다.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경하배수량 4200, 만재배수량 9100, 전장 133.7m, 전폭 17.8m, 속력 20노트, 승조원 130

 

소양급 군수지원함(AOE-II), 경하배수량 10,000, 만재배수량 22,000, 전장 190m, 전폭 25m, 속력 24노트, 승조원 140

 

소양함은 만톤 이상의 유류와 1천톤 이상의 식량, 탄약 등 천지함급보다 2.3배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의무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설비도 갖춰 재난구조 및 국제 협력활동에도 두루 활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소양급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차기군수지원함'(AOE-II) 사업을 통해 건조된, 길이 190m, 경하 배수량 1만톤 급의 군수지원함으로, 기동전단에 대한 원해작전 지원이 가능하고, 수리·의료 지원 및 수직보급 능력을 갖췄다.

 

소양급 군수지원함의 보급물자 적재 능력은 11,050톤으로 천지급 군수지원함보다 적재 능력이 2.3배 이상 커졌다. 소양급 군수지원함은 최대속력 24노트(44km/h)로 항해 가능하며,[1]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선체에 직접 실을 수 있어 보급물자 적재 속도가 높아졌고, 헬기를 이용한 수직 보급 및 인원 이송이 가능하도록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를 갖췄다.

 

선도함 소양(AOE 51)20161129일 진수돼, 2018918일 취역했다.

 

군수지원함의 경우 함 특성(·청수 적재)을 고려하여 담수량이 큰 호수 이름을 함명으로 붙인다.# 소양함은 소양호를 함명으로 사용한 2번째 함정으로, 1982년 미국에서 임대 후 천지급의 도입으로 퇴역한 유조함 AOG 55(USS Rincon (T-AOG-77))의 함명을 계승했다.

 

천지급 군수지원함과 동일하게 해군작전사령부 제7기동전단 제77기동군수전대 소속이다.

 

2.jpg

 

 

 

해군은 대양해군 정책에 따라 1988년도부터 천지급 군수지원함 3척을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헬기 격납고가 없고 함정의 크기가 만재 1만 톤 내외로, 이지스구축함(DDG) 등 대형 함정 대응 및 청해부대 파병 등 대양에서의 기동군수 수행에는 부족함이 있어 차기군수지원함(AOE-II) 사업이 시작되었다.

 

해군은 차기군수지원함 소요를 제기하고 2009년 확보 계획을 밝힌 후 방위사업청이 2011년 현대중공업과 기본설계 계약을, 2014년 상세설계 및 함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차기 군수지원함은 20161129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진수했다.

 

소양급은 보급물자를 채운 컨테이너를 선체에 직접 실을 수 있어 보급물자 적재 속도가 높아졌고, 헬기를 이용한 수직 보급 및 인원 이송이 가능하도록 비행갑판과 헬기 격납고를 갖췄다. 또한 엔진 추진체계는 전기모터와 디젤엔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체계를 적용했으며, 무장은 천지급에 비해 줄었지만 팰렁스 20mm 근접방어 무기체계(CIWS)와 대구급 호위함 등 2010년대 후반들어 건조된 신형 함정에 설치되는 MASS 대유도탄 기만체계를 장착하고 이중선체 구조를 적용하여[2] 함정 생존성은 천지급에 비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소양급 2번함 이후 후속함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추가 건조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군수지원함의 경우 최소 2척이라야 작전 중인 함대에 교대로 출동해 보급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보급거리가 긴 원양작전을 수립하려면 그만큼의 군수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여기에 지원함의 수명이 긴 것과 별개로, 천지급이 이제 노후함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발생하면 연안함대도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3] 과거 인도양에서 청해부대 구축함이 해당 해역에서 활동하던 일본의 마슈급 군수지원함에 보급을 요청했다가 당사국 간 절차가 마련돼 있지 않아 거절된 적이 있다.

 

선체 길이 기준 대한민국 해군 2번째, 배수량 기준 가장 무거운 함정이다. 함교가 상당히 높고 함미 헬기 격납고가 마스트에 통합된 형태라 시험 운행 당시 현역 장병들에게 바다에 떠다니는 아파트 단지 같다는 평을 들었다.

 

3.jpg

대한민국 해군의 소양급 군수지원함(AOE: Fast combat support ship)

 

 

 

제원

*크기 : 기준배수량 10,000t, 만재배수량 23,000t

길이 : 190m, : 25m, 흘수 : 8m

승조원 : 140

 

*항해성능

최대속도 : 24knot, 순항속도 : 15knot, 항속거리 : 10186km

 

*보급능력

보급스테이션 : 6(1, 2, 5, 6 FAS, 3, 4 RAS)

보급물자 수용 : 11,050

(유류 : 1만톤, 보급품 : 1천톤)

컨테이너 : 4

 

무장 : 20mm 펠링스 Phalanx 1기가 유일한 무장이다.

 

보급

*보급용 장비

6개의 보급스테이션과 1개의 대형크레인과 2개의 소형크레인이 장착되어 있다. 1만톤의 유류와 1000톤의 물자를 적재한다.

 

*FAS 스테이션

1, 2, 5, 6번 스테이션이 유류급유용 스테이션이다. 해당 스테이션은 항공유, 선박유, 식수 등을 공급한다. 와이어에 프로브를 매달아보내서 급유와 급수를 한다.

 

*RAS 스테이션

3, 4번 스테이션이다. 수급함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식량과 편지, 탄약 등을 보급한다.

와이어를 연결한 후 트롤리를 사용하여 보급한다.

 

레이더, 센서

*레이더 : SPS-49K 항해레이더와 SPS-300K 탐색레이더가 장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SPS-300K 2D 대수상레이더

희망에어텍에서 납품하는 함정에 탑재하여 소형표적을 포함한 해상표적을 탐색 추적, 함 체계와 연동 하여 항행운영 정보 및 표적 정보를 제공하는 X 밴드레이더이다.

함 내 센서(Gyro, GPS, Speed LOG, ECDIS, AIS), 구명조끼 전자태그(RFID) 와 연동되며, 한국해군전술데이터 시스템에 연동되어 전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km에서 수영하는 인간을 추적 할 수있는 수준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추진체계

CODLAD : COmbined Disel-eLectric And Disel 의 준말로 디젤추진기와 디젤발전기와 영구자석모터를 사용한다.

 

특징 : 급유스테이션이 두개 더 추가되었다. 스테이션별로 조작실이 따로 있다.

크레인이 천지급에 2개만 설치되어 있던 것에 더해 컨테이너용 대형크레인이 하나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어, 더 많은 물자를 빠르게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

컨테이너 적재구역부터 함교 바로 앞 까지의 공간이 뚫려있어서 물자를 차량을 이용해 이동시키기에 훨씬 편리해졌다.

 

 

 

 

UH-60헬기 1대를 수용할 수 있다고 한다,  격납고를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