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전략포럼 조현상 기자]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3월 19일 “한국형전투기(KF-21) 시제 5호기(단좌)가 제3훈련비행단(사천)을 이륙 후 남해 상공에서 공중급유 비행에 성공하여, KF-21의 원거리 작전 능력을 확보하였다.”고 밝혔다.
* 공중급유는 비행 중 급유기의 급유 막대를 KF-21 공중급유 연결부에 연결한 후, 급유기 내 보유 연료를 KF-21로 이송하는 방식이다.

  공중급유 능력은 현대 전투기가 보유해야 할 필수 기능으로 KF-21의 작전 반경 및 운용 시간을 확장시켜 원거리 임무 능력 등 작전 효과 및 공군의 전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작전 반경은 공중급유 시점과 급유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회 공중급유로 최소 약 50% 이상 증대가 예상된다.
  공중급유를 할 때에는 공중급유기 뒤쪽에서 난기류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KF-21의 조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평가하고, 급유기와의 연결과 분리가 안전하게 되는지, 연료 이송 등 공중급유 기능 확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공중급유 비행시험은 ‘24년 3월 8일부터 착수하여 공중급유기 급유장치와 KF-21 급유장치 간 조종 특성 등을 사전에 점검하였다.
  KF-21 공중급유 비행시험은 우리 공군이 운용하는 공중급유기(KC-330)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향후 다양한 비행 영역(고도, 속도)에서 실제 연료(항공유)가 급유기로부터 KF-21에 이송되는 것을 지속 검증할 예정이다.

[그림] 공중급유기를 통한 KF-21 공중급유 개념도. 자료 방위사업청.
  KF-21은 지난 2016년 개발 착수 이후 설계 및 시제기 제작을 거쳐 2022년 최초 비행을 실시하였으며, 2023년 5월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이번 KF-21 공중급유 기능 점검은 후속 비행시험의 일환으로 전투기에 요구되는 성능을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과정 중 하나이며, KF-21 후속 비행시험은 2026년 상반기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사진 : KF-21공중급유 첫 시험하는 장면. 방위사업청 영상 캡쳐
방위산업전략포럼 disf@disf.kr.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공군, 서울시·서울대와 함께 AI로 미래를 준비한다
							공군, 서울시·서울대와 함께 AI로 미래를 준비한다
							 19일 취임한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방산 중소 벤처 기업 성장에 ...
							19일 취임한 석종건 방위사업청장, 방산 중소 벤처 기업 성장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