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미사일 이동식 조립도 3년 7개월 만에 움직임 포착

 

 

15.jpg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내 이동식 조립건물(원 안)이 붉은 사각형 지점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Maxar Technologies / Google Earth

 

 

[방위산업전략포럼] 조현상 기자 = 북한의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장거리 로켓을 최종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동식 건물이 발사대 쪽으로 한층 다가간 것으로 확인됐다. 

 

VOA에 따르면 로켓을 수직으로 세우는 핵심 시설에서 3년 7개월 만에 변화가 관측된 건데, 발사가 임박한 것인지, 시설을 정비하는 것인지 주목된다. 이 일대를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11일 이 조립식 건물은 원래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됐다.

 

지난달 29일까지도 제자리를 지켰던 이 건물은 지난 4일 발사장 중심부로 이동한 장면이 처음 포착됐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이 일대에 구름이 짙게 껴 위성사진 판독이 불가능한 것으로 미뤄 나흘 중 어느 시점에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동창리 서해 발사장은 서쪽 끝부분에 로켓을 쏘아 올리는 발사대(갠트리 타워)가 있으며, 반대편 약 120m 지점 즉, 동쪽 끝부분에 건물 2개가 있다.

 

동쪽의 2개 동은 각각 로켓 추진체를 조립하는 주처리 건물과 이를 수직으로 세우는 조립식 건물로, 이중 조립식 건물이 로켓을 발사대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가로 약 30m, 세로 20m인 이 조립식 건물 바닥에는 선로가 깔려있어 동쪽의 주처리 건물과 서쪽의 발사대를 오갈 수 있다.

 

북한은 지난 2018년 7월 이 조립동을 발사장 중심부로 이동시킨 뒤 일부 외벽을 해체했었다. 하지만 이 작업은 곧바로 중단됐고, 약 8개월 후인 2019년 3월엔 뜯긴 외벽이 복구된 상태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갔다.

 

따라서 조립동 변화가 포착된 건 약 3년 7개월 만으로 현재로선 북한이 이 시설을 이동시킨 정확한 배경은 알 수 없지만, 올해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시한 발사장의 ‘현대화’ 작업일 수 있다.

 

16.jpg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촬영한 지난 9월(왼쪽)과 이달 11일(오른쪽) 위성사진. 이동식 조립건물(원 안)이 이동한 모습이 확인된다. 자료=Planet Labs

 

로켓 발사 전 수평 상태에서 조립 작업을 하는 (주처리) 건물은 (옆 부분이) 이동식 건물에 의해 가로막힌 형태로 이들 두 건물에 대한 개선 작업을 위해선 더 많은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로 붙어 있는 두 건물을 분리해야 더 넓은 작업 공간이 확보되고, 밀착한 외벽 부분에서도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런 변화는 새로운 탄도미사일 북한이 말하는 로켓의 활동이 이미 시작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미사일 도발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변화여서 앞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면밀히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최근 이 일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규모 공사에 우리 군당국이 주목해야 한다. 발사장 운영과 발사 방식 등에 변화를 주려는 움직임일 수도 있다. 

 

현재 북한은 발사대 주변과 연료∙산화제 저장고, 인근 야산 등 서해위성발사장 곳곳에서 대규모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 갠트리 타워에서 북동쪽으로 약 900m 떨어진 야산에선 굴착 작업이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데, 이 지점에서 일직선을 그을 수 있는 야산 반대편에서도 같은 작업이 이뤄지고 있어 터널을 뚫거나 지하 시설을 건설 중일 가능성도 있어 진보된 새로운 형태의 도발이 예고되고 있어 한미 군 당국의 대응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