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가운데)이 러시아와의 국경 돈바스 지역을 시찰하고 있다.
러시아의 대규모 병력이 우크라이나 국경으로 집결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양국의 무력 충돌 가능성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는데
“동유럽의 지정학적 요충지,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는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하면서 독립했다.
러시아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인 우크라이나는 자연조건이 좋아서 농업이 크게 발달했고 석탄, 철강 등 광공업도 주요 산업 기반이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지정학적 요충지다.
북쪽으로는 벨라루스, 서쪽으로 폴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등 과거 소련의 위성국가들과 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러시아와 길게 국경을 대고 있다. 그리고 남쪽에는 군사적 요충지인 크림반도와 흑해가 있다.
이런 지리적 이유로 우크라이나는 소련 붕괴 이후에도 종종 서방과 러시아의 힘이 충돌하는 현장이 되고 있다.
또 국제적인 정치 스캔들로 높은 관심이 우크라이나로 쏠린 적도 있다.
지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와 아들 헌터 씨의 비리를 조사하라고 우크라이나 정부에 압력을 가한 의혹을 받았는데 민주당 주도의 하원은 결국 그해 12월, 권력 남용과 의회 방해 혐의를 적시한 탄핵 소추안을 통과시키는 등, 우크라이나는 미국 정치권의 태풍의 눈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분쟁의 전초지, 크림반도”
‘크림반도’가 오늘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분쟁의 빌미가 된 건 1954년 소련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소련의 연방 국가였던 우크라이나에 크림반도를 줬는데 하지만 1991년 소련이 붕괴하고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크림반도도 자연스럽게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됐고 크림반도에는 크림 자치공화국이 들어섰다.
문제는 크림반도가 소련이 세워지기 전, 제정 러시아 시절에도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러시아 주민들도 많이 거주하는, 러시아 성향이 매우 강한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소련 붕괴 10년 후인 2001년 우크라이나가 실시한 인구 조사를 보면, 당시 크림반도에는 약 240만 명이 살았는데 러시아계가 약 60%고 우크라이나계는 25%도 안 됐다.
그러다 보니 러시아로 귀속하자는 목소리도 나왔고 분리 독립을 추진하는 반정부 세력의 움직임도 끊이지 않았다.
결국 크림 자치공화국은 2014년 3월, 러시아 귀속에 대해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를 시행하는데 이에 앞서 러시아는 탱크를 앞세운 대규모 무장병력을 크림반도로 보냈다. 투표 결과 95% 이상의 찬성표가 나왔다. 그리고 다음 달 크림공화국은 러시아와 합병조약에 서명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물론,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주민투표 자체가 우크라이나 헌법과 국제 질서를 위반한 것인데다, 러시아 병력이 주둔 중인 가운데 실시됐다며 이는 무력으로 강제병합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에 대한 책임을 물어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단행하고 있다.
“또 다른 갈등 지역 돈바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크림반도 말고, 내륙 지역에서도 오랜 갈등을 겪고 있다.
바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가 있는 돈바스 지역인데 이 지역 역시 러시아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친 러시아 성향이 강해 우크라이나 중앙 정부와의 마찰이 늘 끊이지 않았다.
2014년 크림반도에서 위기가 고조됐을 당시, 돈바스 지역도 분리 독립 주민투표를 치렀다. 그리고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는데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이들을 반정부 테러 세력으로 규정했다.
이후 반군 세력과 정부군 간에는 격렬한 무력 충돌이 벌어지면서 내전 양상으로 비화했는데 국제 사회는 러시아가 반군 세력에게 중화기를 제공하며 배후에서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즉각 휴전을 촉구했고 유럽의 중재로 그해 9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도네츠크와 루간스크 대표가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휴전협정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후로도 계속 이 지역에서는 정부군과 반군 간에 산발적인 교전이 계속됐는데 유엔은 2014년부터 지금까지 약 1만4천 명 이상 사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다시 고조되는 군사적 긴장”
올해 들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특히 3월부터 반군과 정부군 간의 충돌로 인명 희생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 여기에 러시아가 대규모 무장병력을 우크라이나와의 접경인 서부 지역으로 이동시키면서 크림반도 사태가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에 따르면,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 국경 지역에 4만 1천 명, 크림반도에 4만2천 명 정도의 병력을 배치하고 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은 병력 증강은 훈련의 일환이라면서, 앞으로 2주 정도 더 기동훈련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는 러시아의 동태를 예의주시하며, 우크라이나 주권과 영토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천명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외교, 안보 사령탑인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부 장관을 유럽에 보내 나토 동맹국들과 대응 모색에 나섰다. 또 한편으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직접 통화해 강력한 우려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 입장을 전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푸틴 대통령에게 몇 달 안에 제3국에서 정상회담을 열자는 제안도 했는데 성사된다면 우크라이나 사태를 포함한 일련의 국제 현안이 심도 있게 다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