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군작전사령관·美우주작전사령관, 연합우주작전 수행체계 발전 관련 긴밀한 협력 다짐
[더코리아뉴스] 윤재익 기자 =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과 데이비드 밀러(David N. Miller) 美 우주작전사령관(우주군 중장)이 2월 13일(목), 오산기지에서 만나 한미 우주작전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美 우주작전사령관의 방한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중장)이 대담을 위해 접견실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
1993년 공군 소위로 임관한 밀러 사령관은 2021년 우주군으로 전속하며, 소장으로 진급했다. 이후 사이버 및 핵 작전참모장, 우주군 참모차장 특별보좌관 등 우주군 주요 직위를 두루 역임하고, 지난해 1월 美 우주작전사령관에 취임했다.
밀러 사령관은 이번 방한 기간 주한 美 우주군사령부와 한국 공군의 우주작전전대도 차례로 방문해, 한반도 내 양국의 우주작전 임무현장을 둘러봤다.
김 사령관과 밀러 사령관은 러·북 군사협력,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 북한의 우주 위협 상황이 급증하고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우주작전 분야 발전과 협력 방안에 머리를 맞대었다.
특히, 연합우주전력을 활용한 △ 北 탄도미사일 탐지·분석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 민간우주분야 영역 활동 확대, △연합 우주훈련·연습 확대 등을 통해 연합 우주작전 수행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 사령관은 “우리 공군은 탄도미사일 발사, GPS 재밍 등 비대칭 수단을 활용한 도발에 적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항공과 우주 등 전영역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 작전과 연계해 적용하고 있다”며, “우주작전전대의 발전, 나아가 한반도 내에서 빈틈없는 한미 연합 우주작전 수행을 위해 美 우주군이 풍부한 작전 노하우를 바탕으로 아낌없이 조언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공군은 2017년에 美 공군과 우주통합팀을 최초로 운영한 이래로, 2019년 창설된 美 우주군과도 연합연습간 韓美 우주통합팀을 운영하며 전·평시 연합 우주작전 수행을 위해 각종 연합훈련을 실시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 공군 우주작전전대와 주한 美 우주군사령부는 지난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오산기지에서 적의 위협을 우주에서 식별하고 대응하는 ‘폴라리스 해머(Polaris Hammer)-KOREA‘ 연습 1단계를 실시했다. 이번 ‘폴라리스 해머-KOREA‘ 연습은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 최초로 실시하는 연합우주작전 지휘통제 연습으로 오는 3월 ’25 FS 연합연습 기간에 2단계 본 연습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평가할 예정이다.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한미동맹의 우주작전 분야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대한민국 공군 우주작전전대 우주작전센터에서 임무현장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대한민국 공군 우주작전전대 우주작전센터에서 임무현장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더코리아뉴스 disf@disf.kr
Copyrightⓒ더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방위산업전략포럼.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