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관함식, 해군력과 국력 과시, 주력함들 힘자랑 및 최고의 신형구축함 공개

by master posted Sep 26,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민과 함께 강한해군 해양강국을 보다!”

- 함정 31·항공기 18대 등 참가국민·장병 등 2400여 명 관함식 통해 국민의 필승해군체험

- 국내 건조 이지스구축함, 호위함, 3,000톤급 잠수함 등 K-해양방산 전력 선보여

 

[더코리아뉴스 조현상 기자] ‘2025 대한민국해군 관함식(Fleet Review 2025, Republic of Korea Navy)’의 백미(白眉)인 해상사열 및 훈련 시범이 926일 부산 인근 해상에서 펼쳐졌다.

 

20250926_142929.jpg

해상사열지휘함인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바깥쪽), 국방부장관이 타고 있는 좌승함 좌승함(座乘艦)인 상륙함 일출봉함(LST-Ⅱ, 4,900톤급). 2025.09.26. 더코리아뉴스 조현상 기자.

 

이날 해상사열 및 훈련 시범에서는 대한민국 해군력과 우리 국력을 과시함과 동시에 주력함들의 함포사격 등 첨단장비를 장착한 힘의 과시를 자랑했다.

 

또 및 최고의 신형구축함 정조대왕함을 공개하고 동급인 이지스구축함(DDG)3,000톤급 잠수함(SS-), 대형수송함(LPH), 상륙함(LST-) 등 함정 31척을 비롯해 해군·해병대, ·공군, 해경 항공기 18, 무인수상정과 무인항공기가 참가해 수상과 공중에서 대규모 전력을 보여주면서 주변국에 침략 의지를 꺽었다.

 

20250926_143318.jpg

해상사열지휘함인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바깥쪽), 국방부장관이 타고 있는 좌승함 좌승함(座乘艦)인 상륙함 일출봉함(LST-Ⅱ, 4,900톤급), 국민참관다과 취재기자가 탑승한 마라도함. 2025.09.26. 더코리아뉴스 조현상 기자.

 

 

이날 행사에는 이재명 대통령이 불참한 가운데, 안규백 국방부장관(임석상관)이 사열을 받았다.

·정부부처·국회 및 유관기관 관계자 300명이 좌승함(座乘艦)인 상륙함 일출봉함(LST-, 4,900톤급), 국민참여단 360명을 포함한 초청단체·인사 2,100여 명이 시승함(試乘艦)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LPH, 14,500톤급)과 상륙함 노적봉함(LST-, 4,900톤급)에 승함한다. 또한, 해군의 최신예 이지스구축함이자 해양 기반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전력인 정조대왕함(DDG, 8,200톤급)이 해상사열지휘함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25일에는 강동길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국민참여단 및 국군 장병·가족 2,400여 명이 해상사열 및 훈련시범을 참관했다.

 

항공기 사열은 총 8개 편대 비행으로 구성되며, 해군 해상초계기 P-8A 1대와 공군 전투기 F-15K 2대 진입으로 시작된다. P-8A는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며 플레어(섬광탄) 80발을 발사했다. 이어서 해상작전헬기 Lynx 2, 올해 도입된 해군 최신형 해상작전헬기 MH-60R 2, 해상기동헬기 UH-60 2,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MUH-1 2, 육군 공격헬기 AH-64 2, 해경 헬기 2, 공군 경공격기 FA-50 3대가 차례로 비행하면서 대한민국 해군의 첨단 장비를 과시했다.

 

수상함 사열은 해양 3축 체계의 핵심인 기동함대 전력을 시작으로 해군 발전기, 해역함대, 기뢰전, 구조전, 유관기관 전력 순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올해 2월 창설된 기동함대 전력을 대표해 최근 4번째로 전력화된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이 지휘함으로, 선두 함인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DDG, 7,600톤급)과 구축함 왕건함(DDH-, 4,400톤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위용을 뽐내며, 최신예 호위함 충남함(FFG, 3,200톤급)이 뒤를 이으며 대한민국의 우수한 조선기술과 국방과학기술이 집약된 모습을 선보였다.

 

20250926_145956.jpg

 

이어서 해군 발전기 전력을 대표해 최초의 국산 호위함인 울산급 호위함 부산함(FF, 1,500톤급)과 초계함 광명함(PCC, 1,000톤급), 고속정(PKM, 130톤급) 편대가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해역함대 전력을 대표해 구축함 양만춘함(DDH-, 3,200톤급), 호위함 인천함(FFG, 2,500톤급), 유도탄고속함 조천형함(PKG, 450톤급), 신형 고속정(PKMR, 230톤급), 기뢰전 전력으로 기뢰부설함 남포함(MLS-, 3,000톤급), 소해함 고성함(MSH, 730톤급), 구조전 전력으로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 3,500톤급), 잠수함구조함 강화도함(ASR-, 5,600톤급)이 차례로 기동하며 해상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의 주요 전력도 함께 항행했다.

 

뒤이어 2025 대한민국해군 관함식을 축하해주기 위해 해양경찰 3,000톤급 경비함 3001, 지질자원연구원의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가 해상사열에 함께하면서 해양강국의 위용을 자랑했다.

 

20250926_151548.jpg

 

잠수함 사열에는 박위함(SS-, 1,200톤급), 이범석함(SS-, 1,800톤급), 대한민국 독자기술로 건조된 3,000톤급 잠수함(SS-) 3번함인 신채호함 순으로 항해를 하며 수중에서 은밀하게 임무를 수행하는 국가 전략자산의 위용을 드러냈다.

 

해상사열에 참가한 함정들은 좌승함과 시승함을 마주 보고 지나갈 때마다 대함 경례를 하며 국민과 함께 강한 해군 해양강국을 이끄는 해군 장병들의 늠름한 모습을 국민에게 선보였다.

 

해상사열 종료되자 해상초계기 P-8A가 음파탐지 소노부이를 투하하고, 해상작전헬기 MH-60R이 디핑소나를 강하해 수중 잠수함을 탐지·추적했다. 이어 P-8AMH-60R이 탐지한 적 잠수함을 격침하기 위해 해상작전헬기 Lynx가 청상어(경어뢰) 훈련어뢰를 투하하여 대잠작전 절차를 작전했다.

 

20250926_152546.jpg

 

이어진 해상화력 훈련 시범에서는 유·무인전력을 활용한 적 선박 대응상황이 연출되었다. 먼저 무인항공기(UAV)가 시승함 노적봉함 비행갑판에서 해상정찰 임무차 이륙하고, 해상정찰 중이던 무인수상정(USV)이 고속 기동하며 가상의 적 선박에 접근,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20250926_153658.jpg

 

이어 구축함 강감찬함(DDH-, 4,400톤급), 호위함 경남함(FFG, 3,100톤급), 유도탄고속함 한상국함(PKG, 450톤급), 신형 고속정(PKMR, 230톤급)으로 구성된 전투전대 함정 4척은 막강한 화력의 함포 일제사격을 통해 적 선박을 명중시키면서 적함을 침몰시켰다.

 

해상사열지휘함인 정조대왕함은 국방부장관을 비롯한 국민 2,400여 명이 타고 있는 좌승함과 시승함을 향해 대함경례를 하고 해상사열 종료 보고와 함께 이번 관함식에서 준비한 모든 해상사열과 훈련 시범을 마쳤다.

 

해군은 이번 관함식 기간인 25일부터 27일까지 함정공개행사를 비롯한 부산작전기지 부대개방행사를 하고 있다. 마지막 날인 27일 저녁에는 관함식 참가 장병 및 일반국민 3,000명이 참석하는 국방홍보원 KFN ‘위문열차기념음악회를 개최하며, 공연 말미에는 해군창설 80주년 축하, <80년의 항해, 국민과 함께 빛나는 바다>’라는 주제로 불꽃 축제를 펼치며 관함식의 대미를 장식한다.

 

한편, 해군관계자는 국민과 함께 해군창설 80주년을 기념하고, 해양안보의 중요성과 해양강국 비전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위해 이번 관함식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특히, 해군은 관함식을 통해 국내 건조 이지스구축함, 최신예 호위함, 3,000톤급 잠수함 등 ‘K-해양방산전력을 대내외에 선보임으로써 대한민국 방위산업 발전과 ‘K-조선홍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날 진행된 관함식(觀艦式 / Fleet Review, Naval Review)은 국가적 경사 등에 국가 원수가 해군 함정을 모아 놓고 그 위용을 검열하는 의식을 말한다. 영국의 에드워드 3세가 1341년 백년전쟁 당시, 함대검열을 한 것이 시초다.

 

한 마디로 해군이 각종 함선을 모아놓고 사열 의식하는 것으로 열병식의 해상 버전이다. 보통 행사국의 해군력 및 국력 과시를 위해 주력함들은 함포를 쏘고, 또 최신예 신형함 공개 하면서 적국 또는 주변국에게 힘을 과시해 침략의지를 꺽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코리아뉴스 disf@disf.kr

 

 

 

 

Copyright더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