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

북·중·러 드론 광탈! 광자 기술과 인공지능 활용해 원거리 소형드론 탐지·식별 기술 나왔다!

by master posted Apr 17,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국방과학연구소,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 기술 시연 성공 -

- 향후 국방 감시정찰 분야에 새로운 장 열 것으로 기대 -

 

 

[더코리아뉴스 조현상 기자]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17() 세종전자시험장에서 차세대 레이다기술로 주목받는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광자레이다 개념도 1200.jpg

인공지능 광자레이다 개념도. 2025.04.17.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국과연에 따르면 이 기술은 레이저 빛을 이용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처리하는 기술로 드론처럼 작은 비행체를 탐지하고 식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기술입이다. 이 기술을 활용한다면 향후 국방 감시정찰 분야에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기술은 국과연이 2022년도부터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레이저의 빛을 전자기파 신호로 바꿔 표적에 보내고, 표적에서 반사된 신호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해 표적의 유무 및 정체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국과연은 이 기술을 활용해 카메라 같은 기존 광학 장비로는 탐지가 어렵고 수 킬로미터 거리에 있는 작은 비행체를 야외 환경에서 식별하는 데 국내 최초로 성공했습니다.

 

국방과확에서 미래도전국방기술은 소요가 결정되지 않거나 소요가 예정되지 않은 무기체계에 대한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국방과학기술(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2024.07.10.))을 정의한다.

 

국외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식별 가능성을 확인한 논문은 있으나 실제 환경에서 식별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고 국과연이 밝혔다.

 

이번 기술시연회에는 국과연뿐만 아니라 방위사업청, 군 등 다양한 기관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향후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 기술의 발전 방향과 조기 상용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국과연은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 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전투실험 수행 및 후속 과제 발굴 등을 통해 관련 방위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정성태 국과연 제3기술연구원장은 이번 기술시연회를 통해 보여드렸듯이 국과연의 인공지능 기반 광자레이다기술이 실제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앞으로 이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K-방산 감시정찰 분야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현상 기자 disf@disf.kr

 

 

 

 

Copyright더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