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

[사진] 한미 공중수장, 공군작전사령관·미국 우주작전사령관 첫 양자대담

by master posted Feb 19,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공군작전사령관·우주작전사령관, 연합우주작전 수행체계 발전 관련 긴밀한 협력 다짐

  

[더코리아뉴스] 윤재익 기자 =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과 데이비드 밀러(David N. Miller) 우주작전사령관(우주군 중장)213(), 오산기지에서 만나 한미 우주작전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우주작전사령관의 방한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1.jpg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중장)이 대담을 위해 접견실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

 
 

1993년 공군 소위로 임관한 밀러 사령관은 2021년 우주군으로 전속하며, 소장으로 진급했다. 이후 사이버 및 핵 작전참모장, 우주군 참모차장 특별보좌관 등 우주군 주요 직위를 두루 역임하고, 지난해 1우주작전사령관에 취임했다.

 

밀러 사령관은 이번 방한 기간 주한 우주군사령부와 한국 공군의 우주작전전대도 차례로 방문해, 한반도 내 양국의 우주작전 임무현장을 둘러봤다.

 

김 사령관과 밀러 사령관은 러·북 군사협력,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 북한의 우주 위협 상황이 급증하고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우주작전 분야 발전과 협력 방안에 머리를 맞대었다.

 

특히, 연합우주전력을 활용한 탄도미사일 탐지·분석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민간우주분야 영역 활동 확대, 연합 우주훈련·연습 확대 등을 통해 연합 우주작전 수행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 사령관은 우리 공군은 탄도미사일 발사, GPS 재밍 등 비대칭 수단을 활용한 도발에 적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항공과 우주 등 전영역 정보를 융합하여 실제 작전과 연계해 적용하고 있다, “우주작전전대의 발전, 나아가 한반도 내에서 빈틈없는 한미 연합 우주작전 수행을 위해 우주군이 풍부한 작전 노하우를 바탕으로 아낌없이 조언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공군은 2017년에 공군과 우주통합팀을 최초로 운영한 이래로, 2019년 창설된 우주군과도 연합연습간 韓美 우주통합팀을 운영하며 전·평시 연합 우주작전 수행을 위해 각종 연합훈련을 실시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 공군 우주작전전대와 주한 우주군사령부는 지난 121일부터 24일까지 오산기지에서 적의 위협을 우주에서 식별하고 대응하는 폴라리스 해머(Polaris Hammer)-KOREA‘ 연습 1단계를 실시했다. 이번 폴라리스 해머-KOREA‘ 연습은 미국이 아닌 국가에서 최초로 실시하는 연합우주작전 지휘통제 연습으로 오는 3’25 FS 연합연습 기간에 2단계 본 연습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평가할 예정이다.

 

사진2.jpg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한미동맹의 우주작전 분야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3.jpg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대한민국 공군 우주작전전대 우주작전센터에서 임무현장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4.jpg

사진은 김형수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오른쪽)과 데이비드 밀러 미 우주작전사령관이 대한민국 공군 우주작전전대 우주작전센터에서 임무현장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더코리아뉴스 disf@disf.kr

 

 

 

Copyright더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방위산업전략포럼. All rights reserved·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