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고(故) 김학수 이병 집으로 귀환…6·25전사자 발굴유해 신원확인

by master posted Apr 25,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90번째 신원확인, 5사단 고(故) 김학수 이병으로 밝혀져

-외증손자의 6·25 참전 증언이 신원확인의 결정적 역할

 

 

13.jpg

좌측 190번째 신원확인 고 김학수 이병 생전 사진과 190번째 신원확인 고 김학수 이병과 배우자 고 이소저 님의 약혼사진.

2022.04.25. 국유단 제공

 

 

[방위산업전략포럼] 조현상 기자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08년도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에서 발굴된 6·25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고(故) 김학수 이병으로 확인했다.

 

이에 따라 2008년 9월 25일 국유단과 육군 12사단 장병들의 노력으로 발굴된 6·25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14년 만에 고 김학수 이병으로 확인되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2000년 유해발굴사업이 시작된 이후 190분의 6·25전사자  유해에 대한 신원이 확인되었다.

 

국유단에 따르면 2008년 발굴 당시 고인은 신체의 일부분만 확인된 부분유해의 형태로 발굴되었다.

 

고인은 6·25전쟁 당시 교통호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12사단 장병들이 기초발굴하던 중 정강이뼈 일부가 발견되면서 전문 발굴병력이 투입되었고, 주변을 확장하여 발굴한 결과 골반을 포함한 다리뼈 일부를 발굴했다. 이 때 고인의 유해 주변에서 전투화 밑창과 우의 조각이 발굴되었지만, 그러한 유품만으로는 신원을 특정할 수 없었다.

 

이번 신원확인은 군부대 장병에 대한 홍보와 군부대의 시료채취를 통해 이루어졌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2019년 군 복무 중이던 고인의 외증손자가 유해발굴사업을 접하게 되면서 외증조부의 6·25전쟁 참전 사실을 떠올렸고,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자신의 아버지(고인의 외손자)에게 유전자 시료 채취를 권유하면서 시작되었다.

 

국유단은 고인 외손자의 유전자분석을 통해 가족관계일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를 특정할 수 있었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 고인의 따님 김정순 님의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여 두 번의 유전자분석 끝에 고인과 부녀관계임을 확인했다.

 

고인은 1925년 5월 14일, 충북 진천군에서 6남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유가족에 따르면, 집안의 막내로 태어나 귀여움을 받고 자란 고인은 많이 배우게 하려는 부모님의 뜻에 따라 학교를 다녀서 똑똑하고, 아코디언 연주와 노래도 곧잘 하는 인물이었다. 배우자이신 고(故) 이소저 님과 결혼하여 슬하에 1녀를 두었으며, 외동딸이 3살이 되던 1951년 3월 16일 입대했다.

 

고인의 외동딸 김정순 님은 “아버지가 전사 후 손·발톱이 든 네모난 상자가 태극기로 둘러싸여 집으로 돌아왔다고 들었다”면서 “어머니가 어린 나를 재울 때 아버지를 눈물로 그리워하며 부르시던 ‘비 내리는 고모령’의 노랫가락이 아버지와 어머니, 나를 교감시키는 매개체”라며 고인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다고 전했다.

 

고(故) 김학수 이병의 배우자 고 이소저 님은 1959년 31세의 나이로 작고했다.

 

김 이병은 서화리 전투(1951.6.4.~17.)에서 전사했다. 서화리 전투는 유엔군사령부가 캔사스선을 방어하기 위한 핵심지역 점령과정에서 발생한 전투이다. 고인이 소속되었던 국군 제5사단은 ‘파일드라이브 작전’의 일환으로 원통 북방의 서화리 일대를 공격하게 되었다.

 

1951년 6월 4일부터 17일까지 14일간 국군 제5사단은 서화축선의 요충지를 점령하면서 적을 격파하는 등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였지만, 고인은 해당 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했다.

 

고 김학수 이병의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는 오는 8.(목) 경기 오산시에 위치한 외동딸 김정순 님의 자택에서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를 설명하고, ‘호국의 얼 함(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전사자의 유품 등이 담긴 함)’을 전달하는 내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유단은 6·25전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국민 여러분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신원확인은 외증조부의 6·25전쟁 참전 사실을 어렴풋이 기억하고, 이를 가족들과 의논한 군 장병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처럼, 유해발굴사업은 6·25전쟁에 참전한 친인척이 계신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참여 가능한 사업이라고 국유단 관계자가 강조했다.

 

그러면서 6·25전쟁에 참전하셨으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한 친인척이 있으시면 국유단 대표번호 1577-5625(오! 6·25)로 연락 주시거나 보건소, 보훈병원, 군병원 등에서 실시하는 유전자 시료채취에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6·25전쟁 국군전사자 및 경찰, 학도병, UN군 등의 유해소재 제보 시 최대 70만 원, 유해의 신원확인 시 최대 1,000만 원 포상금 지급한다.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rticles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