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Viggen 2021/04/22
자율주행‘무인수색차량’미래 戰場 누빈다
- 방위사업청, 무인수색차량 탐색개발 종료, 2022년 체계개발 돌입
- 야지·험지 자율주행 등 최첨단 기술이 반영, 위험지역 수색정찰
<통제차량(왼쪽)과 무인차량(오른쪽), 통제차량과 무인차량이 한 조를 이루고 있으며, 통제차량 내부의 통제장치를 통해 무인차량을 원격 조종할 수 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2018년 10월부터 국방과학연구소 및 여러 방산기업과 협력하여 무인수색차량의 탐색개발을 4월 21일 성공적으로 종료했다. 팀색개발은 연구 개발의 첫째 단계, 개발하고자 하는 체계의 부체계 또는 주요 구성품에 대한 위험 분석, 기술 및 공학적 해석,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단계로 핵심 요소 기술을 연구하고 필요시 1:1 모형을 제작하여 비교 검토 후 체계 개발 단계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무인수색차량은 기계화보병사단과 기갑여단의 기갑 수색부대에 배치되어, 병사 대신 작전 지역 최전방에서 수색·정찰, 경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래형 첨단 국방로봇의 하나이다. 탐색개발을 통해 차량 설계, 성능시험, 운용성 확인을 통해 무인수색차량에 대한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체계개발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특히 탐색개발의 마지막 관문인 ‘운용성 확인’은 육군 시험평가단 주관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약 3개월 간 진행됐으며, 이 기간 작전운용성능과 군 운용 적합성, 전력화지원요소 등 총 60여 항목에 대한 평가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앞으로 진행될 체계개발에 돌입하면 양산 예정인 무기 체계를 개발하는 단계, 설계 및 시제품 제작, 개발 시험 평가와 운용 시험 평가를 거칠 예정이다.
<통제차량(왼쪽)과 무인차량(오른쪽), 통제차량은 소형 전술차량 플랫폼을 기반으로 통제장치, 안테나 등을 추가하여 개조하였다>
무인수색차량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탑재되어 원거리에서 원격조종 또는 자율주행으로 운용하게 된다.
특히 야지·험지와 같은 군 작전환경에서 자율주행 기술은 우리나라 독자기술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하도록 개발해 온 핵심기술이다.
이를 통해 일반도로뿐만 아니라 전술도로에서도 계획된 기동로를 자율주행 가능하며, 충돌 방지 및 충돌 회피 기능을 구현하여 지형지물 및 이동 장애물과 충돌 없이 목표 도달이 가능하고,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 자율 복귀 또는 계획된 경로 자율주행이 선택적으로 운용 가능하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감시장비는 주·야간 다중 표적 탐지가 가능하며, 단일 표적에 대해서 정밀 추적이 가능한 것도 큰 장점이다.
또한, 6×6륜형 독립구동방식이 적용되어 다양한 지형에서 높은 기동성능을 발휘하고 엔진 발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직렬형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하여 정숙성을 확보했다.
주요 무장으로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탑재하는 등 다양한 환경하에서 수색 정찰 임무에 최적화되도록 개벌돾다.
<무인차량(왼쪽)과 통제차량(오른쪽), 원격운용능력 향상을 위해 통제차량에 설치된 통신용 안테나를 길게 뻗은 모습이다>
<저작권자ⓒ방위산업전략포럼.무단전재-재배포 금지>